- 조달청과 간담회…공공발주 건설공사 입찰 시 지역업체 참여 확대 논의 -

인천지방조달청에서 간담회를 진행 중이다, 사진 / 인천광역시청 제공
인천지방조달청에서 간담회를 진행 중이다, 사진 / 인천광역시청 제공

인천광역시 도시균형국과 인천지방조달청이 손을 잡고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섰다. 지난 8월 25일 인천지방조달청에서 열린 간담회는 지역업체의 공공부문 건설공사 참여를 확대하고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이는 지난 8월 12일 인천시와 9개 공공기관이 체결한 '지역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될지 주목받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공공 발주 건설공사 입찰 공고 시 지역업체 참여를 늘리는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김지욱 인천지방조달청장은 지역 건설업체의 공공사업 참여 확대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인천시의 요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장두홍 시 도시균형국장 역시 지역 건설업체 참여 확대가 시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정책임을 강조하며, 앞으로도 정부 및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는 단순히 특정 기업의 매출 증대를 넘어, 다양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불러온다. 첫째,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안정이다. 건설산업은 고용 유발 효과가 커 지역민들의 일자리 창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공공 발주 사업에 지역업체가 참여하면 지역 내 고용이 안정되고, 청년들의 유출을 막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지역 자본의 순환이다. 지역업체가 공공사업을 수주하면 인건비, 자재비, 장비 임대료 등이 지역 내에서 소비되어 지역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셋째, 지역 건설 기술의 축적과 경쟁력 강화다. 잦은 대규모 공사 참여는 지역업체의 시공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이는 곧 기술력 향상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지역 건설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높인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형 건설사 위주의 입찰 구조와 기술력 부족, 낮은 입찰 가격 등 지역업체들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은 여전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는 필수적이다.

최근 한국경제연구원(현 한국경제인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 발주 사업에서 지역업체 의무 참여 비율을 높이거나 가점제도를 확대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지역 건설업체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와 인천지방조달청의 이번 간담회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한 실질적인 정책 협력의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공공사업이 많은 인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번 협력은 더욱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 인천에 소재한 굵직한 공공기관들이 대거 참여한 업무협약은 단순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 구축의 출발점이다. 앞으로 이들 공공기관과 조달청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업체 참여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한다면, 인천 지역 건설산업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인미래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