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구에서 군·구 단체장 협의회를 가진 후 기념 사진을 촬영 중이다, 사진 / 인천광역시청 제공
남동구에서 군·구 단체장 협의회를 가진 후 기념 사진을 촬영 중이다, 사진 / 인천광역시청 제공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밝혔다. 지난 13일 남동구에서 열린 군·구 단체장 협의회에서 인천시는 군·구 단체장과 함께 해당 정책의 철저한 준수를 결의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는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 등 4자 협의체의 최종 합의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법제화된 국가적 과제이다. 인천시는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생활폐기물 감량, 재활용 확대, 민간 소각업체와의 협력 강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수도권매립지로 반입되는 생활폐기물 양을 2020년 대비 2024년까지 약 35% 감소시키는 놀라운 성과를 이뤘다.

이번 인천시의 결의는 단순한 행정적 절차를 넘어, 환경 정책에 대한 강력한 리더십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는 단순히 쓰레기를 묻지 않는 것을 넘어,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촉구하는 중대한 전환점이다. 그동안 수도권매립지는 1992년 개장 이후 서울, 경기, 인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해왔다. 하지만 매립지 부지 포화와 환경오염 문제, 그리고 매립지 주변 지역 주민들의 지속적인 고통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사회적 과제였다.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목표로 삼고 2026년 직매립 금지를 추진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동시에,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는 것이다.

인천시는 이미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시행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소각시설 확충을 통해 자체적인 폐기물 처리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재활용 체계의 고도화를 통해 폐기물의 재활용률을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시민 참여형 감량 캠페인 확대는 생활 속 작은 실천이 가져올 수 있는 거대한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단순히 법적 의무를 이행하는 것을 넘어, 인천시가 '자원순환 선도도시'로서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폐기물 문제 해결은 더 이상 한 지자체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자체와의 협력과 함께, 궁극적으로는 시민 한 명 한 명의 적극적인 동참이 이뤄져야 한다. 인천시가 주도하는 폐기물 관리 혁신은 수도권 전체의 환경 정책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경인미래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