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감 도성훈)이 9월 26일 '인천미래유아교육 분과별 협의회'를 열고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교원, 학부모, 유관부서 담당자 등 42명이 참여한 이번 협의회에서는 유치원 평가 개선, 공립유치원 전담 교원 배치, 유아 모집·선발의 공정성, 그리고 인천형 5세 무상교육 등 4가지 핵심 주제가 심도 있게 다뤄졌다. 특히 무상교육 분과에서는 지난 협의회에 이어 개선 의견과 재정 지원 방향을 논의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적극적인 소통의 장이 마련되었다.
이번 협의회는 유아교육 정책 결정 과정에 교육공동체인 교원과 학부모의 참여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과거에는 정책이 주로 행정 당국 주도로 이루어져 현장의 현실과 괴리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인천시교육청은 직접적인 교육 주체인 교사와 학부모가 참여하는 협의회를 통해 정책의 수립 단계부터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교육공동체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특히, 유치원 평가 개선이나 전담 교원 배치, 유아 모집·선발의 공정성 문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들로, 이번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또한, '인천형 5세 무상교육'에 대한 논의는 저출산 시대에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교육비 부담을 경감하려는 인천시교육청의 의지를 보여준다. 무상교육의 재정 지원 방향에 대한 논의는 단순히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지속가능한 유아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장기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앞으로 인천시교육청은 이와 같은 현장과의 소통을 지속하며,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유아교육 정책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이는 미래 교육의 중요한 축인 유아교육이 공적 영역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