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서울핀테크랩이 지난 11월 10일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자산 기초 교육'을 모집 정원 40명이 전원 마감되는 높은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교육은 분산원장 기술 기반의 STO(Security Token Offering) 구조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디지털 자산 전반의 흐름을 이해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 기획되었다. 한국금융연수원 길진세 교수가 강연을 맡아 'STO부터 스테이블코인까지, 블록체인 동향 살펴보기'를 주제로 금융 산업의 변화 배경, STO 확산 가능성, 블록체인 기술의 실제 적용 사례 등 폭넓은 내용을 다루었다. 특히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길 교수의 사례 설명과 활발한 질의응답은 참가자들이 복잡한 디지털 자산 개념을 실생활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제2서울핀테크랩은 이번 교육을 통해 시민들의 금융 변화에 대한 이해와 대응력을 높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수준과 연령대가 참여할 수 있는 금융·핀테크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핀테크 허브가 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제2서울핀테크랩이 시민 교육에 집중하는 것은 급변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 향상이 곧 핀테크 산업 발전의 토대라는 분석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STO와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 자산 분야는 높은 기술적 난이도로 인해 일반 시민에게는 여전히 진입 장벽이 높은 영역이다. 전문가 관점에서 볼 때, 핀테크 산업의 혁신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기술 발전 속도만큼이나, 대중의 이해와 수용도가 중요하다. 이번 교육이 시민의 '눈높이'에 맞추어 기획되었고, 특히 실무 경험이 풍부한 한국금융연수원 길진세 교수를 초빙하여 복잡한 STO 구조를 실생활 관점에서 설명했다는 점은, 교육의 실효성과 참여자들의 공감을 높이는 데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제2서울핀테크랩은 단순히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것을 넘어, 시민들의 금융 교육 수요를 충족시키며 금융 혁신의 '수요층'을 확대하는 중요한 공공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디지털 금융의 포용성을 높이고 건전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디지털 자산 시장은 STO를 중심으로 제도권 편입이 가속화되며 금융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동력으로 탐구되고 있다. 길진세 교수의 강연 주제에서 알 수 있듯이, STO는 부동산, 미술품 등 전통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으로 전환하여 소액 분산투자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본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는 독창적인 방법이다. 탐구적 관점에서 볼 때, 제2서울핀테크랩은 앞으로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단순 기초 지식 전달을 넘어, 시민들이 STO를 활용한 실생활 투자와 연금 운용 등 '개인 금융 포트폴리오'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민들의 학습 열기를 반영하여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을 넘어 물류, 의료, 행정 등 다양한 산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융합 교육'을 확대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핀테크 허브로서 제2서울핀테크랩이 시민들에게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금융 혁신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는 참여자로서의 역할을 부여하는 독창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시민 눈높이에 맞춘 지속적인 교육 확대는 서울시가 지향하는 '스마트 포용 금융 도시'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