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경제기업 창업 아카데미서 지방 소멸 위기 대응 해법 발표 -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전국 절반 가까운 기초지자체가 ‘소멸 고위험’에 놓인 지금, (사)국가유산생활인구중앙협회(회장 김대형)가 주최·주관한 ‘사회적경제기업 창업 아카데미’ 현장에서 김명숙 인천지회장이 던진 메시지는 단순한 발표가 아니라 절박한 현장의 목소리였다. 기자가 지켜본 그의 발언은 ‘국가유산’이라는 오랜 자산을 지역의 새로운 생명줄로 삼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담고 있었다.
김 지회장은 세계유산해설사 양성, AR·VR 해설 콘텐츠 제작, ‘내 유산 등록 캠페인’ 등 구체적인 실행안을 통해 외부인을 단순 관광객이 아닌 ‘관계인구’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강화군·경주·제주 등 인구감소지역을 시범 사업지로 선정해, 2026년부터 온라인·오프라인 교육을 병행하고 ‘해설사 활동 지역 생활인구 10% 증가(1년)’라는 KPI를 설정한 점은 인상 깊었다. 이는 단순히 계획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과를 숫자로 입증하겠다는 자신감의 표현이었다.
현장에서 기자가 느낀 것은, 이 전략이 ‘누가 먼저 돈을 대느냐’보다 ‘누가 먼저 마음을 내어놓느냐’의 문제라는 점이다. 김 지회장이 내세운 ‘Zero-Cash, High-Trust’ 전략은 바로 그런 철학을 담고 있었다. 초기 재정을 최소화하고 지자체·대학·기업·전문가의 공간과 장비, 노하우를 공유자원(Commons)으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은 단순한 예산 절감이 아니라, 주민 주도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려는 시도였다.
고령층과 경력단절자, 청년층이 함께 유산을 매개로 활동하며 관계를 맺고, 장기적으로 정주 인구로 전환될 수 있는 길을 열어가는 것. 기자는 이것이야말로 지방 소멸 위기 시대의 ‘문화적 해법’이라고 본다. 수도권과 지방을 잇는 상생 구조, 디지털 아카이빙을 통한 기록자산화, 그리고 유산의 현대적 해석은 단순한 지역 활성화를 넘어, 지역 정체성 회복과 공동체 재생을 이끌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김 지회장은 발표 말미에 “사라지는 마을이 아니라, 머무르고 싶은 공동체를 만들고 싶다”는 소망을 전했다. 기자는 그 한마디가, 이번 전략의 본질을 가장 함축적으로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