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이주여성 폭력 사각지대 해소와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일일 특강'으로 안전망을 강화하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11월 19일 인천시청에서 이주여성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딥페이크 시대, 우리 아이를 지키는 방법'을 주제로 일일 특강을 개최한다. 이번 특강은 전국 최초로 시행된 '이주여성 찾아가는 폭력예방 교육' 사업의 성과를 지역사회로 확산하고 심화하는 과정으로, 온라인 성범죄 정보 접근에 취약한 이주여성의 자녀 보호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강연은 십대여성인권센터 권주리 사무국장이 맡으며,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최신 동향과 함께 위험 신호 발견, 초기 대응 및 지원 방법 등 실질적인 보호 방안을 교육한다. 이는 언어 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인해 폭력 피해에 취약하고 도움 요청에 어려움을 겪는 이주여성들의 사각지대 해소와 더불어, 신종 디지털 폭력에 대한 사회 전반의 감수성을 높이는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된다. 시현정 여성가족국장은 "이주여성들이 지역사회에서 고립되지 않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촘촘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인천시의 일일 특강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선, 복합적인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주여성이 겪는 폭력의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사건이 아니라, 언어·문화적 장벽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결합된 '사회적 고립'의 문제이다. 통상적인 폭력 예방 교육이 내국인 중심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정보 취득에 제한적인 이주여성들은 피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신고 및 도움 요청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이주여성의 눈높이에 맞춘 모국어 기반 '찾아가는 폭력예방 교육'을 시행하고, 폭력 이해도와 자기 방어 능력을 100%에 가까운 수준으로 향상시킨 성과는, 이주여성 대상 교육의 '접근성'과 '맞춤화'가 사회 안전망 구축에 얼마나 필수적인지를 입증하고 있다. 특히 이번 특강이 '디지털 성범죄'라는 최신 위험 요소를 다루고 있다는 점은, 폭력의 양상이 끊임없이 진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사각지대를 해소하려는 정책적 의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주여성 스스로 '나뿐만 아니라 이웃을 도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는 교육 만족도는, 피해자 지원을 넘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량 강화라는 긍정적인 순환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은 이주여성을 수혜자가 아닌, 안전한 지역사회를 함께 만들어가는 능동적인 주체로 인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포용(Digital Inclusion)'과 '온라인 안전(Online Safety)'이 주요 정책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딥페이크 등 인공지능 기술을 악용한 디지털 성범죄는 국경을 넘어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역시 텔레그램 성착취 사건 이후 관련 법제가 강화되었으나, 다문화 가정의 경우 이주여성 학부모가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위험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대응 방안을 습득하기가 여전히 어렵다. 이는 언론 보도, 공공 캠페인 등이 주로 한국어로 이루어지고, IT 기기 사용 환경이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인천시의 이번 특강은 이러한 '정보 격차'와 '디지털 폭력의 사각지대'를 동시에 해소하려는 탐구적인 접근이다. 즉, 기존의 가정폭력이나 성폭력 예방을 넘어, '사이버 안전망' 구축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유엔 여성(UN Women) 등 국제기구는 이주 여성의 역량 강화를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 달성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인천시의 사례는 이주여성 정책이 단순 복지 차원을 넘어,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사회 안전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포용적 도시 정책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교육 모델을 표준화하고, 다른 지자체에도 확산하는 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나아가, 이주여성이 직접 디지털 성범죄 예방 교육의 강사나 조력자로 참여하는 '주체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장기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