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교육청, 수도권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 성과보고회 개최... '밀집학교 교육력 제고' 협력 방안 모색

2025-10-31     김점남 기자
서울, 경기 지역 교육청과 함께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 1차년도 성과보고회를 진행 중이다, 사진 / 인천광역시교육청 제공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감 도성훈)은 30일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에서 서울, 경기 지역 교육청과 함께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 1차년도 성과보고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에는 세 교육청의 담당 교원, 컨설팅위원,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했으며, 수도권 다문화교육 현안에 대한 공동 대응과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주요 연구 성과는 '다문화밀집학교 교육력 제고 방안'과 '이주배경학생 이중언어 강점 개발' 등 현장의 구체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과제 발표와 운영 사례 공유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는 현장의 실천 사례가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수도권 다문화교육 네트워크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수도권 지역의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 협력은 현재 대한민국의 교육 현안 중 가장 중요한 '포용과 성장'의 의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전문가의 시각에서 볼 때, 인천, 서울, 경기는 전국 이주배경학생의 상당수가 밀집된 지역으로, 이들 교육청이 공동으로 연구하고 정책을 공유하는 것은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와 '수도권 다문화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최적의 전략이다. 특히 '다문화밀집학교 교육력 제고 방안' 연구는 일반 학교 교육과정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모든 학생에게 균질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다. 정부 정책 역시 이주배경학생을 단순 취약 계층이 아닌 '미래 인재'로 인식하고 이중언어 등 강점을 살려 '정주형 인재'로 양성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기조에 맞춰, 세 교육청의 협력은 이주배경학생이 가진 이중언어 능력을 단순 언어 능력으로 끝내지 않고 '글로벌 경쟁력'으로 개발하고 활용하는 구체적인 교육 모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협력은 교육 현장의 어려움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우수 사례를 확산하는 '교육 거버넌스'의 모범이 된다는 분석이다.

다문화 교육의 최신 트렌드를 탐구하면, '이주배경학생'의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우리 사회의 인구 감소 및 미래 인재 부족 문제에 대응하는 '인재 양성' 정책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부는 2025년부터 이중언어 능력을 가진 이주배경학생에게 대학 졸업 시까지 장학금을 지원하는 '글로벌 우수인재 장학금' 신설을 추진하는 등, 이중언어 교육 강화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천시교육청 등 수도권 3개 교육청의 이번 보고회에서 '이주배경학생 이중언어 강점 개발'을 핵심 주제로 다룬 것은 이러한 최신 정책 방향을 선도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려는 탐구적 의지이다. 특히 AI 디지털교과서에 다국어 번역 기능을 탑재하는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한국어 교육' 체계가 구축되는 상황에서, 이중언어 강점을 가진 학생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언어-문화 전문가'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다. 2차년도 협력에서 현장의 실천 사례가 정책에 반영되도록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다짐은, 학교 현장의 창의적인 교육 실험이 수도권 전체의 다문화 교육 정책을 이끌고, 나아가 대한민국 전체의 교육 시스템을 포용적 미래 사회에 맞게 혁신하는 원동력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