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 발달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을 깨우다

2025-10-30     김점남 기자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활용 매뉴얼’ 표지, 이미지 /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제공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이하 누림센터)가 2025년 경기도 발달장애인평생교육지원사업의 핵심 결과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활용 매뉴얼'을 개발했다. 이 매뉴얼은 발달장애인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과 평생학습 참여 확대를 목표로, 발달장애인이 디지털 세상에서 안전하게 소통하고 스스로 배우며 사회에 참여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 하에 현장 중심의 실효성을 높여 개발되었으며, 학습자용 워크북과 교수자용 지도서로 구성되어 있다. 콘텐츠는 개인정보보호, 저작권과 초상권 이해, 지도 앱으로 길 찾기, AI로 이미지 만들기 등 실생활과 밀접한 총 16차시 주제를 다룬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그림과 사진 중심의 단계별 학습 구성이 적용되었고, 현장 교수자와 시·군센터 담당자 의견을 적극 반영해 완성도를 높였다. 매뉴얼 개발에 참여한 한 연구자는 단순한 기술 교육을 넘어 자기결정과 사회참여를 지원하는 평생학습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으며, 실제 교육에 참여할 발달장애인 학습자 역시 휴대폰이나 지도 앱 사용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다. 누림센터는 이 매뉴얼을 발달장애인의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는 첫걸음으로 보고, 11월 중 도내 시·군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에 배포하고 종사자 대상 활용 교육을 병행할 계획이다. 해당 자료는 누림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내려받을 수 있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과제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경우,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뿐 아니라 온라인상에서의 윤리적 판단, 개인정보 보호, 사이버 안전 등 '디지털 시민성' 영역에서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경기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누림센터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활용 매뉴얼을 개발한 것은 매우 의미심장하다. 이는 발달장애인을 단순히 보호의 대상으로 보는 시각을 넘어, 디지털 사회의 동등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권리 기반' 평생교육의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한다. 매뉴얼의 내용이 개인정보보호, 저작권, 그리고 AI 활용까지 아우르는 것은, 발달장애인이 온라인에서 피해자가 되는 것을 막는 '안전 교육'과 동시에,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창작하고 정보를 탐색하는 '사회 참여 능력'을 동시에 길러주려는 구조적 접근을 보여준다. 그림과 사진 중심의 워크북 구성은 발달장애인의 학습 특성을 고려한 인지적 접근성을 극대화한 결과로, 교육 현장의 실효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된다. 이 매뉴얼은 발달장애인이 디지털 기술을 통해 일상생활의 자립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자기결정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은 단순히 여가 활동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그들의 삶의 질과 사회 통합을 실질적으로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2025년 보건복지부의 발달장애인지원 사업 안내에서도 발달장애 성인의 지역사회 참여 확대를 위한 평생교육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경기도 내에서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우수사례가 지속적으로 발굴되는 등(예: 2025년 광명시, 시흥시 우수사례) 평생학습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누림센터의 매뉴얼 개발은 이러한 최신 정책 기조와 현장 요구를 결합한 탐구적 성과다. 특히 'AI로 이미지 만들기'와 같은 주제는 발달장애인에게도 첨단 기술이 단순히 어렵고 먼 대상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과 창의성을 표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매뉴얼의 활용이 도내 시·군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로 확대되고 종사자 교육이 병행된다는 점은, 개발된 콘텐츠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전국적인 평생교육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는 시스템적 기반을 구축하려는 의지로 읽힌다. 이는 발달장애인이 디지털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고 당당한 시민으로서 행복한 삶을 누리게 하겠다는 누림센터의 전문적 역할 수행을 실현하는 모범적인 실천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