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 성인문해교육 특강서 'AI 주도 시대, 읽걷쓰가 답이다' 강조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은 27일 인천평생학습관에서 열린 초등·중학 성인문해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 'AI주도 시대, 읽걷쓰가 답이다'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진행했다. 인천평생학습관은 인천시교육청이 지정한 최대 규모의 학력인정 문해교육 기관으로, 초등 1~3단계와 중학 1~3단계 전 과정을 운영하며 지역 성인문해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이번 특강에서 도성훈 교육감은 인공지능(AI)이 주도하는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식 습득을 위한 학습력과 건강을 동시에 길러야 함을 역설하며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읽고, 걷고, 쓰는(읽걷쓰)' 활동이 AI 시대의 핵심 역량인 문해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는 기본이자 건강한 삶의 토대가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특강에 참석한 한 학습자는 "생계를 위해 소홀히 했던 '읽걷쓰' 활동의 소중함을 깨달았고, 건강한 마음으로 학습을 실천할 의지를 다지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인천평생학습관은 앞으로도 문해교육 학습자들의 배움 성취를 경험할 수 있도록 보충학습과 시화 작품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의 이번 특강은 성인 문해교육이라는 기반 교육의 중요성을 최신 기술 화두인 'AI 주도 시대'와 연결했다는 점에서 분석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AI가 보편화될수록 단순 암기 지식은 AI에게 대체되지만,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며(읽기), 새롭게 창조적으로 표현하는(쓰기) 능력, 그리고 신체적·정신적 건강(걷기)을 통해 얻는 통찰력은 인간의 핵심 경쟁력으로 남게 된다. 즉, 도 교육감은 '읽걷쓰'를 단순한 기초 문해 활동이 아니라, AI 시대에 인간이 갖춰야 할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과 '정서적 회복탄력성'을 통합하는 새로운 평생 학습 모델로 제시한 것이다. 평생교육 전문가의 관점에서 볼 때, 문해교육 학습자들은 생계 등으로 인해 교육 기회를 놓친 경우가 많아 '배움의 결핍'과 함께 '심리적 위축'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들에게 '읽고, 걷고, 쓰는' 활동은 단순히 글을 깨치는 것을 넘어, 자기 효능감을 회복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당당하게 소통할 수 있는 '마음 건강'을 되찾는 과정이 될 수 있다. 학습자가 "건강한 마음의 학습 실천의지를 견고하게 하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힌 것은 이러한 심리적·정서적 치유 효과가 컸음을 방증한다.
AI 시대를 맞아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평생학습 체계'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기술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성인들의 지속적인 재교육과 직업 전환 역량 강화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되었기 때문이다. 인천시교육청 지정 최대 규모인 인천평생학습관이 초등부터 중학 단계까지의 학력인정 문해교육을 선도하는 것은, 인천이 이러한 교육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모든 시민에게 균등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탐구적으로 주목할 부분은 '읽걷쓰' 활동을 AI 시대의 해법으로 제시한 배경이다. 최신 교육 연구는 독서(읽기)를 통해 복잡한 텍스트를 이해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AI가 생성한 정보의 진위와 의미를 판단하는 데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또한, '걷기'와 같은 신체 활동은 뇌 기능 활성화와 더불어 스트레스 해소에 기여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촉진한다. 최종적으로 '쓰기'는 생각의 정교화와 논리적 표현력을 극대화하여 AI와의 협업 또는 AI 활용 결과물을 최종적으로 완성하는 인간 고유의 영역이다. 인천평생학습관이 앞으로 시화 작품 전시 등 배움의 성취를 시각화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학습자들의 자존감을 높여 사회 참여를 독려하는 긍정적인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인천은 기초 문해교육을 AI 시대의 필수 역량 교육으로 승화시키며 모든 시민의 평생학습 역량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